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산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다면 아래 링크의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자산, 자본, 부채' 에 대하여 (feat. PBR)
오늘은 '자산, 자본, 부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산, 자본, 부채는 재무제표 내의 재무상태표에서 볼 수 있는 개념으로 재무제표를 보기 위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이다. 쉬운 것
yelobean.tistory.com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아래는 삼성전자 재무제표의 자산 부분이다. 자산은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뉜다.

유동자산은 기업의 정상 영업 주기 혹은 1년 이내 (대부분 1년 이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현금화될 수 있는 자산을 뜻한다.
반대로 비유동자산은 유동자산이 아닌 자산을 뜻한다. (1년 이내 현금화될 수 없는 자산 | 토지, 건물 등이 여기 포함될 수 있겠다.)
재무상태표(위 표 참고)에는 현금화가 빨리 가능한 순서대로 배열된다.
당좌자산
유동자산 중에서도 더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뜻한다. 위 재무제표에서 재고자산 같은 경우는 판매가 이루어져야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이다. 때문에 재고자산은 당좌자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당좌자산의 경우 재무제표에 따로 기록되진 않지만, 많은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
유동자산 중요한 이유는?
유동자산이 너무 적으면 기업이 흑자가 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용 지불 혹은 부채상환을 하지 못해 흑자도산(흑자가 남에도 망하는 것)을 하게 될 수 있다. 때문에 재무제표를 볼 때는 유동자산이 어느 정도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Finance Information > 재무제표 톺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익계산서 (재무제표) 항목 톺아보기 (0) | 2021.02.20 |
---|---|
재무상태표의 자본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 (0) | 2021.02.18 |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0) | 2021.02.17 |
'자산, 자본, 부채' 에 대하여 (feat. PBR) (0) | 2021.02.15 |
재무제표 vs 연결재무제표 차이는 (0) | 2021.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