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의 차이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요즘 주식시장이 뜨거워짐에 따라 가치투자를 위해 재무제표를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재무제표 조회를 위해 DART 사이트를 접속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재무제표뿐만 아니라 연결재무제표라는 것도 있어 어떤 것을 봐야 하는지 헷갈린다. 오늘은 이 둘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연결재무제표 란?
연결재무제표란 지배기업(종속기업의 지분을 과반수 이상 보유한 기업)의 재무제표 수치에 종속기업의 수치까지 합산해서 작성한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재무제표를 본다고 할 때 재무제표는 이 '연결재무제표'이다. 기업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소유하고 있는 기업의 이익까지 포함해서 보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별도재무제표 란?
DART에 공시된 (그냥) 재무제표는 별도 재무제표를 뜻한다. 종속기업의 재무 수치는 제외하고 해당 지배기업의 재무 수치들만 작성한 것을 뜻한다.
주의사항 은?
일반적으로 재무제표를 볼 때 연결재무제표를 보면 크게 문제가 없다. 하지만 종속기업의 지분을 51%만 가지고 있더라도 종속기업의 전체 매출, 이익, 손실 등을 연결재무제표에 합산하도록 되어있어 재무제표를 볼 때 잘못된 가치를 판단하게 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속기업의 순이익이 100조이지만, 지배기업이 이를 51%만 소유하고 있다면 51조의 이익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하지만 재무제표 상에서는 100조의 순이익을 낸 것처럼 표현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요한 수치(손익)등에는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의 수치를 나눠 표기해 놓고 있으니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을 보고 투자를 할지 말지 판단하는 게 좋겠다.

'Finance Information > 재무제표 톺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익계산서 (재무제표) 항목 톺아보기 (0) | 2021.02.20 |
---|---|
재무상태표의 자본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 (0) | 2021.02.18 |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0) | 2021.02.17 |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0) | 2021.02.17 |
'자산, 자본, 부채' 에 대하여 (feat. PBR) (0) | 2021.02.15 |
댓글